728x90
반응형

내려놓음 3

본심을 깨달아서 '무명'을 '명'으로 바꾸는 것

《본심을 깨달아서 ‘무명’을 ‘명’으로 바꾸는 것》 ▫️진정한 참회는 어떻게 하는가▫️ 참회란 지은 죄와 잘못을 뉘우치고 반성하는 것이다. 상대적 입장에서는 과거의 죄를 반성하는 것이 참회이다. 하지만 절대적 입장에서는 과거의 죄뿐 아니라 미래의 죄까지 반성하여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진정한 참회이다. 여러분! 무상참회를 알려주겠다. 무엇을 '참'이라 하고 무엇을 ‘회’라 하는 것인가? 범부는 어리석고 미혹하므로 다만 이전의 허물만 뉘우칠 줄 알 뿐, 뒷날의 허물을 뉘우칠 줄은 모른다. 뒷날의 허물을 뉘우치지 않으므로 이전의 허물이 소멸하지 않고 뒷날의 허물이 또다시 생기는 것이다. (중략) 오직 마음을 살펴서 죄의 조건이 될 만한 것을 제거하고, 각자의 본성 속에서 참된 참회를 해야 한다. ..

Story 2021.04.21

자기 자신에게 화해하고 참회하는 것

《자기 자신에게 화해하고 참회하는 것》 ▫️온전한 참회의 방법▫️ 붓다에게 있어서 죄는 연기·중도의 도리에 어긋난 불건전한 행위를 뜻한다. 불건전한 행위는 몸과 말과 뜻으로 짓는 열 가지 불선업不善業을 말한다. 몸의 불선업은 생명을 죽이고, 삿된 성행위를 하고, 훔치는 것이다. 말로 짓는 불선업은 거짓말, 이간질, 거친 말, 쓸데 없는 말이다. 뜻으로 짓는 불선업은 탐내는 마음, 성내는 마음, 어리석은 마음이다. 이상 열 가지 불선업은 고통과 번민을 낳고, 그 결과 불건전한 행위의 결과인 죄의 과보를 받게 된다. 죄는 자기 스스로 짓고 스스로 받으므로 죄의 용서는 자기가 자신에게 화해하고 참회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그 뒤 자신의 잘못을 함께 사는 대중에게 고백하고 용서를 구하는 것을 '자자'라고 한다..

Story 2021.04.18

참회에 대한 대승불교의 입장

▫️참회에 대한 대승불교의 입장▫️ 한편 대승불교에서는 참회멸죄가 가능하며 이때 참회는 수행의 일부로 기능하게 된다. 수행자는 '시방삼세十方三世’의 붓다에게 귀의하고 참회함으로써 자신의 '중생성'을 자각하고 극복하는 계기로 삼는다. 나아가 대승불교에서 참회는 특정한 죄업業을 고백하고 뉘우치는 소극적 행위가 아니라 공덕을 쌓는 적극적 행위로 발전한다. 한 대승 경전에서는 참회로부터 얻게 되는 공덕을 열 가지로 언급하고 있는데 여기에서는 번뇌를 멸할 뿐만 아니라 마침내 깨달음을 성취하게 되는 것도 참의 공덕으로 언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승불교에서는 참회를 받아주는 귀명歸命의 대상을 여러 제불보살로 확대하고 참회의 방법 또한 다양하게 발전시킨다. 참회를 보다 적극적인 수행으로 삼고자 하는 대승불교의 흐름은..

Story 2021.04.17
728x90
반응형
LIST